처음으로     

 

 

ʾ

 

 

코로나 우한 실험실 유출' 폭로 학자 "유전자 가위 흔적 보인다"

기자명 : 시사주간지… 입력시간 : 2020-09-16 (수) 13:1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 (코로나19 바이러스). 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 (코로나19 바이러스). 중앙포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중국 내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뒤 유출된 것이 확실하다."  
 

홍콩 출신 바이러스학자 논문 발표
"中실험실에서 합성된 뒤 유출한 듯"

홍콩 출신 바이러스 학자인 옌 리멍 박사는 15일 공개한 논문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자연계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옌 박사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처음 연구한 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코로나19 전파 초기에 이 바이러스가 사람들 사이에 전파가 된다는 사실을 보고했지만, 중국 정부가 이를 묵살당했다고 주장해왔다.
 
옌 박사는 신변의 위협을 느낀다며 홍콩을 떠나 지난 4월부터는 미국에서 생활하고 있다.
 
15일 공개 디지털 플랫폼인 '제노도(Zenodo)'에 공개한 논문에서 옌 박사는 코로나19가 실험실에서 만들어졌다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했다.
또, 실험실에서 실제로 6개월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다며 실험 스케줄까지 예시하기도 했다.
 

반중 단체의 도움 받는 듯 

옌 리멍 박사. 폭스 뉴스 화면

옌 리멍 박사. 폭스 뉴스 화면

옌 박사는 논문에서 "학계에서 진행되는 검열 때문에 인공 바이러스 설을 담은 논문들은 사전 검토 단계에 머물고 있고, 제대로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옌 박사 등 4명의 공동 저자는 미국 뉴욕에 있는 '법칙 사회 및 법치 재단' 소속으로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 단체는 반중 성향의 단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제 학계에서는 현재까지는 박쥐의 바이러스가 천산갑으로 옮겨 갔다가 다시 박쥐를 거쳐 사람에게 옮겨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미 지난 3월에 코로나19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고, 논란은 가라앉은 상태다.
다양한 자연계 바이러스의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코로나 19에서 합성됐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옌 박사의 주장에 대한 학계의 재반박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군 연구소 보관 바이러스와 유사"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구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구조

옌 박사는 논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동물성 바이러스와는 일치하지 않는 생물학적 특성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옌 박사는 코로나19 유전자가 기존에 알려진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RaTG13이 아니라 ZC45 혹은 ZXC21과 더 유사하다는 것이다.
 
코로나19와 RaTG13은 유전자 염기서열이 96% 일치하지만, ZC45나 ZXC21은 바이러스 단백질 종류에 따라 코로나19와 94~100% 동일성을 보인다는 설명이다.
 
논문은 특히 ZC45나 ZXC21 바이러스가 2015~2017년 중국군 관련 연구소에서 발견, 분리해서 보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논문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 가운데 스파이크(S) 단백질 유전자가 ZC45나 ZXC21와는 다른 것은 재조합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다. 못처럼 뾰족뾰족 나온 형태다.
 
옌 박사는 논문에서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분(RBM)과 관련된 유전자를 ZC45나 ZXC21에서 들어내고 대신 과거 유행했던 사스(SARS·급성중증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RBM 유전자를 끼워 넣은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천산갑에서 발견된 바이러스보다 코로나19가 사람 세포 수용체에 훨씬 잘 결합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적절한 숙주가 없는 상태에서 이런 재조합이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는 게 옌 박사팀의 주장이다.

천산갑. 연합뉴스

천산갑. 연합뉴스

현재까지는 학계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실한 자연계 숙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유전자 가위 흔적 보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S) 단백질. 청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S단백질이며, S1과 S2 두 개의 서브 유닛(하부 구조)으로 구성돼 있다. 퓨린 절단으로 S1과 S2가 끊기면 S1 서버 유닛 모양이 달라지면(B그림)사람 세포의 수용체와 더 잘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S) 단백질. 청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S단백질이며, S1과 S2 두 개의 서브 유닛(하부 구조)으로 구성돼 있다. 퓨린 절단으로 S1과 S2가 끊기면 S1 서버 유닛 모양이 달라지면(B그림)사람 세포의 수용체와 더 잘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논문에서는 또 끼워 넣은 RBM 유전자 양 끝에서 유전자 가위가 작용한 흔적도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이곳에서만 발견되는 특정 염기 서열(제한 효소 절단 부위)로 볼 때 가위로 자르고 풀로 붙인 흔적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논문은 이를 두고 "유전자 조작의 산물임을 증명하는 '스모킹 건(smoking gun·결정적 증거)'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논문에서는 비슷한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퓨린 절단(Furin Cleavage)' 현상이 코로나19에서 발견되는 것도 인공적인 바이러스 증거로 들었다.
 
퓨린 절단은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수용체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두 부분으로 잘리면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펼침 모양이 달라지는 현상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퓨린 절단으로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가 달라지면 사람 세포 수용체에 훨씬 더 잘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스 바이러스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 잘 전파되는 것도 이런 퓨린 절단과 관련이 있다. 
 
이런 퓨린 절단 현상은 2017년 무렵부터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연구팀들이 알고 있었다는 게 논문의 주장이다.
 
논문에서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퓨린 절단을 할 수 있도록 유전자 염기 서열을 인위적으로 일부 바꾼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후속 논문도 곧 발표할 것" 예고

중국 우한바이러스 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중국 우한바이러스 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실험을 진행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논문에서는 옌 박사는 "ZC45나 ZXC21 바이러스 유전자를 뼈대로 해서 필요한 유전자를 끼워 넣는 방식이면 6개월 이내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다"며 "중국 내 실험실에서는 이를 수행하는 데 아무런 기술적 장벽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RBM 부위를 대체하는 데는 1.5개월, 퓨린 절단 부위를 추가하는 데 0.5개월,  관련 유전자(ORF1b) 획득에 1개월, 바이러스 유전자를 안정화하고 최적화하는 데 3개월이면 된다"고 제시했다.
 
옌 박사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코로나19는 독성과 감염성이 향상됐고 사람을 표적으로 하는 능력을 얻었다"며 "우한바이러스연구소 등 관련 연구 실험실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옌 박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강화된 바이러스라는 데 대해 초점을 맞춘 후속 보고서를 준비 중이며 곧 제출(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출처: 중앙일보] '코로나 우한 실험실 유출' 폭로 학자 "유전자 가위 흔적 보인다"
 


 
 
 
 
 
 
 
 
 
 
 
 
 
 
 

시사주간지뉴스타임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광고안내 | 기사제보 | 취재요청 | 제휴문의

 

Copyright©2013. 시사주간뉴스타임 All rights reserved.
시사주간뉴스타임 서울시 중구 퇴계로45길 31-15(예관동 70-16번지) 3,4층
관리자이메일E-mail : ssjj5008@naver.com,ssjj5008@daum.net 대표전화 : /팩스 02)2285-5688
발행인/대표자 : 김성진(김재팔) 잡지등록증:서울 중,마00031
시사주간뉴스타임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